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블랙스완 완벽을 추구하는 강박 영화 줄거리 리뷰

by 나영씨 2025. 3. 25.
반응형

영화 블랙스완은 2010년에 개봉한 심리 스릴러 영화입니다. 

블랙스완은 뉴욕의 발레단에서 활동하는 완벽주의적인 발레리나 니나가 차기 공연 [백조의 호수]의 주역인 백조와 흑조를 동시에 연기할 기회를 얻게 되면서 그에 따라서 오는 경쟁과 스트레스로 인해 점점 정신적으로 무너져 내리는 이야기로 전개가 되는 영화입니다. 

블랙스완은 나탈리 포트만의 연기가 돋보이는 영화로 재능이 뛰어난 발레리나이지만 항상 불안하고 자신의 엄마에게 지배당하면서 살아왔기 때문에 기댈 곳 없이 불안정하게 무너져 내리는 니나의 모습을 훌륭하게 소화하여 나탈리 포트만은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합니다. 

 

영화 기본정보 

영화 장르 - 스릴러, 드라마

감독 - 대런 에러노프스키

개봉일 - 2010 년 12월 3일 (한국 개봉일 2011년 2월 24일 )

러닝타임 - 108분 

주요 출연진

니나 세이어스 역 - 나탈리 포트만

토마스 리로이 역 - 뱅상 카셀

릴리 역 - 밀라 쿠니스

베스 매킨타이어 역 - 위노라 라이더 

에리카 세이어스 역 - 바바라 허쉬

줄거리

뉴욕의 발레단에서 활동하는 니나는 과거 발레리나였지만 일찍 은퇴하고 딸에게 자신의 꿈을 투영하는 어머니 에리카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녀는 완벽하지만 너무 순수하고 얌전해서 [백조의 호수]의 백조역에는 적합하지만 유혹적인 흑조역에는 부적합하다는 평을 듣습니다. 

그래서 발레단의 감독 토마스는 그녀에게 좀 더 도발적인 연기를 원합니다. 

그즈음 니나는 자유분방하고 도발적인 새 발레리나인 릴리를 만나게 됩니다. 니나는 릴리에게서 자신에게는 없는 흑조의 유혹적인 모습을 보게 되고 그런 그녀에게 위협을 느낍니다. 

정신적으로 몰린 니나는 환각을 겪고 자신의 몸에 이상한 변화를 느끼며 (자신의 몸에서 깃털이 돋는듯한 느낌 등) 점점 현실과 환각을 구분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릴리와의 관계도 어색해지고 그녀에게 질투와 욕망이 뒤섞인 감정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공연당일 니나는 릴리에게 자신의 역할을 빼앗긴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분노하고 릴리를 찌르게 됩니다. 

하지만 이 또한 환각이었고 찔린 것은 그녀 자신이었습니다. 

니나는 공연에서 흑조역을 완벽하게 연기하여 무대를 장악하고 마치 실제 백조처럼 무대 위에서 쓰러집니다. 그렇게 피를 흘리며 

"I was perfect"이라는 대사를 남기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감상평

선택받은 발레리나로서 [백조의 호수] 공연에서 백조와 흑조 1인 2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싶어 하는 니나의 내면의 모습이 순수하고 가녀린 백조와 관능적이고 도발적인 흑조의 모습으로 대비가 됩니다. 점점 니나의 내면에서 분열을 일으키며 완벽을 향한 그녀의 욕망이 집착으로 변해가며 점차 어두운 내면이 드러나며 예술가로서 완벽을 추구하는 그녀가 그 강박으로 자신을 파괴하는 모습을 완벽하게 표현하는 영화입니다. 

영화에서 니나와 릴리는 동성애적 긴장과 예술적 경쟁 등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지만 니나는 릴리를 자신의 시선 속에서 왜곡하여 보며 릴리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배척하여 스스로가 생각하기에 완벽한 연기를 해내고 또 스스로를 파괴합니다. 

니나에게 릴리는 단순한 경쟁자 이상의 니나의 내면을 자극하는 심리적 거울 같은 존재로 니나가 그동안 억눌러온 자신의 성적욕망과 반항심 자유로움과 충동적인 모습을 릴리를 통해 투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니나는 릴리를 질투하면서도 동시에 동경하고 매혹당합니다.

그래서 릴리는 실존인물이지만 니나의 시선 속에서 왜곡되어 분열된 자아처럼 표현되고 결국 자신 속의 릴리를 죽이고 무대에서 완벽한 블랙스완으로 변신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백조와 흑조 두 자아의 싸움을 거처 스스로 완벽한 연기를 완성하고 그 순간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 죽음은 단순히 무대에 오르기 전 칼에 찔린 상태로 무대에 올라 과다출혈로 죽음에 이르는 것도 있지만 예술가로서 완성되면서 억눌리고 불완전했던 니나 자신의 자아의 죽음의 의미도 있습니다.   

영화 블랙스완은 우리가 생각하는 발레의 우아하고 아름다운 모습뿐이 아닌 우리가 모르는 발레의 육체적인 고통과 힘듦을 묘사하여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닌 뒤에서의 아무도 모르는 노력에 초점이 맞춰 쳐 더욱 여운이 있는 작품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