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 인생은 아름다워 La Vita è Bella ]는 1997년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겸 배우인 로베르토 베니니가 연출과 주연을 맡은 작품입니다.
감독 로베르토 베니니의 아버지는 진짜 수용소에서 3년간 살아남은 홀로코스크 생존자로 전쟁후에도 그 트라우마에 시달리다가 부인의
권유로 아들에게 그때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는데 마치 게임에 비유하듯 이야기를 해주었고 그것이 영화의 기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극 중 귀도의 아내 도라역을 맡은 니콜레타 브라스키는 실제로 로베르트 베니니의 아내로 1991년도에 결혼하여 지금까지 잘 살고 있습니다.
영화 정보
감독-로베르토 베니니
각본 - 빈센조 세라미, 로베르토 베니니
제작, 기획 -마리오 코토네, 엘다 페리
촬영-토니노 델리 콜리
음악-니콜라 피오바니
등장인물
귀도 역- 로베르트 베니니
도라 역- 니콜레타 브라스키
조슈아 역- 조르지오 깐따리니
줄거리
이 영화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 수용소로 끌려간 한 가족을 중심으로 아버지의 희생과 사랑을 감동적으로 그려낸 작품입니다.
1939년 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전.
이탈리아에 살고있는 귀도는 낙천적이고 유쾌한 성격의 유대인 남성으로 운명처럼 만난 교사 도라와 사랑에 빠집니다.
도라에게는 약혼자가 있었지만 귀도의 매력에 사랑에 빠져 결국 귀도와 결혼하고 둘사이에 귀여운 아들 조슈아가 태어납니다.
귀도는 똑똑하고 책을 좋아하는 유머가 있는 남자로 자신의 장기를 살려 서점에서 일하며 행복한 결혼생활을 합니다.
하지만 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전쟁이 심화되면서 유대인을 탄압하는 나치의 정책이 본격적을 시행되어 귀도와 그의 아들 조슈아가가수용소로 끌려가게 됩니다. 이에 유대인이 아닌 도라는 남편과 아들을 따라가길 원했고 자발적으로 그들과 같은 수용소에 가게 되지만
도라는 여성 수용소로 가게되어 가족과 떨어지게 됩니다.
잔혹한 현실속에서도 귀도는 자신의 아들 조슈아가 공포를 느끼지 않도록 이 모든 상황이 단체게임이라고 거짓말을 합니다.
귀도는 아들에게 1000점의 점수를 따면 탱크를 받을 수 있다 말하고 나치에게 들키면 감점당한다 말했습니다. 아들 조슈아는 이 말을 믿고
수용소 생활을 견디면서 1000점이 쌓이기를 기다리고 귀도는 아들을 지키기 위해서 고군분투 합니다.
전쟁이 막바지에 다다르면서 나치는 패색이 짙어지자 수용소의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유대인들을 학살하기 시작합니다.
어느 날 귀도는 죄수중 한 명인 바르톨메에오에게 나치 장교들이 증거를 인멸하고 있다며 수용소의 모두를 죽일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이에 귀도는 수용소 탈출을 감행하면 아들 조수아에게 이건 숨바꼭질이라 말하며 쓰레기통에 아들을 숨긴 뒤 수감된 아내를 찾기 위해 여장을 하고 여성 수용소를 뛰어다니다 경비병에게 걸리게 됩니다.
귀도는 자신에게 죽음이 닥친 상황에서 숨어서 자신을 지켜보는 아들이 놀라 뛰쳐나올까봐 일부러 쾌활하게 웃으면서 우수꽝스러운 몸짓으로 전진하고 아들 조슈아는 그런 아빠를 보면 미소 짓습니다. 결국 경비병과 귀도는 조슈아의 시야에서 사라져 골목으로 들어간 후 총성이 울려 퍼집니다.
조슈아는 아버지의 죽음을 모르고 밤새 수용소에 남아 있었는데 아버지가 아무도 없을때 나오라 했기 때문에 독일군이 도주하고 남은 수용소 사람들이 나갈때에도 계속 숨어있다 아침이 되어서야 텅 빈 수용소 마당으로 나오게 됩니다.
그때 땅이 울리고 수용소를 해방시킨 미군의 탱크가 마당으로 들어오고 조슈아는 탱크를 선물로 받은줄 알고 천진난만하게 놀라게 됩니다.
조슈아를 발견한 미군은 조슈아에게 탱크에 올라타겠냐 제안하고 조슈아는 기뻐하면 탱크에 올라타 초콜렛도 먹고 헬멧도 써보며 신나게 질주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미군의 에스코트를 받으면서 수용소에서 나가고 있던 엄마 도라를 마주치게 되고 엄마의 품에 안기게 됩니다.
감상
어렸을때 봤을 때는 그냥 슬프네 정도로 생각했던 영화인데 나이 들어서 다시 봤을 때는 정말 엄청 울었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전쟁영화가 아닌 힘든 상황에서도 희생과 사랑 그리고 유머와 긍정적인 태도가 자신의 인생뿐 아니라 아들의 인생에도 고통스럽지만 그 속에 아름다움이 있다는 희망을 만들어주는 감동적인 영화입니다.
보고 나면 내 인생도 따뜻하고 아름다워질 것이라는 희망을 만들어주는 따뜻한 작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