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로미오와 줄리엣 (ROMEO+JULIET)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영화 줄거리 리뷰

by 나영씨 2025. 4. 8.
반응형

영화 로미오+줄리엣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고전소설 로미오와 줄리엣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클레어 데인즈 주연의 영화로 화려하고 감각적인 영상 연출로 유명한 바즈 루어먼이 감독을 맡아 뮤직비디오처럼 

빠르면서 감각적으로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영화는 배경이 되는 도시 베로나는 원작의 이탈리아가 아닌 미국의 베로나 비치로 바뀌고 검은 총으로 바뀌는 등 현대화되었지만

대사는 고전의 대사형식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영화정보 

장르 - 로맨스, 드라마, 범죄 

감독 - 바즈 루어먼 

개봉일  - 미국 1996년 12월 26일 

               한국 1996년 12월 28일

상영시간 - 120분  

주요 출연진 

로미오 역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줄리엣 역  -  클레어 데인즈 

줄거리 

정렬의 도시 베로나의 두 가문 몬태규가와 캐플릿가는 오랜 세월 앙숙관계로 이 두 가문은 만나기만 하면 싸움이 일어난다. 

로미오의 사촌인 그레고리 와 줄리엣의 사촌인 티볼트는 신경전을 벌이다 총격전까지 이어진다.  

가문 간의 싸움에 관심이 없는 몬테규가의 로미오는 총격전을 벌이고온 사촌 그레고리에게 자신이 천눈에 반한 여인의 이야기를 한다.

어느날 캐플릿가의 파티에 몰래 참석한다. 화려한 파티를 구경하던 로미오는 푸른 조명의 어항 반대편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아름다운 여인을 보고 한눈에 반해버린다. 

어항 반대편에 있던 여인은 줄리엣 캐플릿으로 줄리엣도 어항 반대편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로미오에게 반하게 된다. 

두 사람은 서로에게 강하게 끌렸지만 서로의 가문이 오랜 세월 앙숙으로 지내온 가문의 사람이라는 사실에 당황하고 거기에 티볼트가 로미오를 발견하여 그는 급하게 파티장을 떠난다. 

집으로 돌아가던 로미오는 줄리엣이 계속 생각나 다시 그녀의 집으로 향하고 줄리엣도 그를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게 줄리엣의 집 앞에서 다시 만난 두 사람은 사랑을 맹세한다. 

로미오는 로렌스 신부를 찾아가 캐플릿가의 줄리엣과 결혼 맹세를 했으니 축복을 해달라 부탁하고 고민하던 로렌스 신부는 이 결혼이 

두 가문 간의 화해의 시작이라 믿고 두 사람을 축복해 주며 로미오와 줄리엣은 성당에서 비밀 결혼식을 올린다. 

해변에서 사촌들과 시간을 보내던 로미오 앞에 티볼트가 시비를 걸고 그 두무리 사이에 싸움이 일어난다. 싸움을 원하지 않던 로미오가 그들을 말리기 시작했지만 티볼트가 로미오의 일행을 칼로 찔러 그 자리에서 사망하였다.  화가 난 로미오는 티볼트를 따라가 격투 끝에 그를 죽이게 되고 이에 로미오는 베로나에서 추방당하고 이사실을 줄리엣이 알게 되어 슬픔에 빠진다. 

이러한 상황에 줄리엣의 부모님은 그녀에게 결혼을 강요하고 절망한 줄리엣은 로렌스 신부에게 도움을 구한다. 

로렌스 신부는 줄리엣에게 죽은 것처럼 보이게 만들어 주는 약을 줄리엣에게 건네며 이 약을 먹고 죽은 걸로 가장하여 로미오와 도시를

떠나라 말합니다. 

줄리엣은 약을 먹고 죽은 것처럼 보여 장례식을 치르게 된다. 

하지만 로미오에게 로렌스 신부의 계획은 잘못 전달되어서 줄리엣이 죽었다는 소식만 듣게 되고 로미오는 절망한다. 

로미오는 독약을 준비하고 줄리엣의 묘지로 가고 그곳에서 줄리엣의 시신을 발견하여 그녀 앞에서 독을 먹고 자살한다. 

그 순간 줄리엣이 깨어났지만 자살한 로미오를 발견하고 줄리엣도 권총으로 자살하며 그들의 사랑은 비극으로 끝이 난다. 

감상 

로미오와 줄리엣은 셰익스피어의 고전을 현대화하면서도 대사는 원작의 그대로 고전적으로 유지한 독특한 작품입니다. 

특히 로미오역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이 영화로 청춘스타 반열에 올랐는데 이 당시에는 줄리엣보다 예쁜 로미오라는 평이 

대부분일 정도로 이 영화에서 대단한 미모를 자랑했습니다. (지금은 잘생긴 아저씨 정도지만...)

거기에 영상의 강렬한 색감과 빠른 움직임은 영화를 더욱 감정적으로 고조시키며 영화의 배경음악이 이러한 영상에 어우러져 영화의 

감정과 스타일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 줍니다. 

독특하고 화려한 영상미와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 그리고 감각적인 음악과 현대와 고전의 조화가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작품입니다. 

 

반응형